[코로나19 이후의 한국 경제] 상승인가 VS 하락인가, 새로운 디지털 싱귤래리티 사회를 어떻게 적응하는가에 달려있다. 기본소득제 도입은 필수이다.
4차 산업혁명의 생존 2020. 6. 5. 20:49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
요즘 국내외적으로 많은 이야기를 듣고 있습니다. 오늘은 미국 뉴욕에서 비지트와 같이 생활했던 아는 지인의 이야기를 들을 수가 있었습니다. 외출금지령으로 집에만 갇혀있고, 렌트비는 물론 생활비 걱정에 한국 귀국 여부를 고민하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이것은 미국만의 문제는 아닐 것입니다. 유럽, 중국, 심지어 중남미도 마찬가지고 국내도 마찬가지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과연 한국 경제는 코로나 19 이후에 어떠한 상황을 맞이하게 될까요? 폭망 할까요? 아니면 더 나아질까요? 얼마 전 모 방송국 경제전문 기자분의 기자협회보 기고문이 있었습니다. 먼저 그 기사를 링크해 드립니다.
경기는 파탄이고 우리 경제는 망할 거라는 분들에게
‘이런 추석은 처음’이었다가, ‘이런 설이 처음’이었는데, 코로나19 여파로 ‘이런 불경기가 처음’입니다. 자영업은 대란, 중소기업은 몰락, 경제는 파탄이라고 하네요. 그런데 골프장은 손
n.news.naver.com
그런데 어렵고 망한다는 업종들 대부분이 재래업종들입니다. 치킨집에서 방직공장, 인쇄소 골목처럼, ‘시대에 밀리는’ 업종들입니다. 배달 플랫폼 시장이 5조 원을 넘어서는데, 충무로 전단지 인쇄골목이 과연 경기가 좋을까? 우리 경제에 실을 짜는 방직공장이 호황일 수 있을까?(그럼 나이키의 나라 미국에 왜 나이키 운동화 공장은 하나도 없을까?)
우리 경제(GDP)는 이미 호주와 캐나다, 스페인을 넘어섰습니다. 코스피 상장사 중 20위권인 KT나 현대제철의 매출이 20조 원을 훌쩍 넘습니다. 지역의 백화점 한 곳의 매출이 1년 1조 원을 뛰어넘습니다.(부산 롯데백화점/2019년) 명동 롯데백화점에 가면 1년 1억 원 이상 쓰는 고객을 위한 레니드라운지가 따로 있습니다. 이들은 PSR이라는 방에서 따로 쇼핑을 합니다. 1억 원짜리 시계가 드물지 않게 팔립니다.(우리가 이름을 아는 시계는 이미 명품이 아니다) 결국 경기가 어려운 게 아니고 격차가 벌어지는 겁니다.
기자협회보
이 기자분의 말처럼, 지금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부분의 업종은 재래업종들 즉, 아날로그 기반 오프라인 전문 업종들이라는 이야기입니다. 반대로 배달 앱, 홈페이지 제작, 빅데이터를 비롯한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 관련 업종은 호황을 누리고 있습니다. 이번 코로나 19 사태가 진정되면 FANG과 PANDA 시대가 더욱 촉진될 것입니다. 페이스북(Facebook), 아마존(Amazon), 넷플릭스(Netflix), 구글(Google)이라는 FANG 과 페이팔(Paypal), 아마존(Amazon), 엔비디아(Nvidia), 디즈니(Disney), 알파벳(Alphabet, 구글)으로 이야기되는 PANDA가 우리 곁으로 더욱 가까이 다가올 것입니다. 즉, 비지트가 강연에서 자주 언급되었던 1:99 의 시대입니다.
이러한 글로벌 거대 IT 업체를 비롯한 로컬 IT 업체들이 전 세계 부의 1프로를 장악하는 시대가 더욱 가까이 온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분명 경제는 더욱 침체될 것입니다. 다만 1프로의 부를 가진 개인과 디지털 공룡 기업들의 소비 패턴과 나머지 99프로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선순환 구조를 만들어 낼 거인지가 앞으로 다가올 기본소득제 시대의 주된 이슈가 될 것입니다.
[코로나19 재난, 기본소득제의 서막을 알리다.] 코로나19 사태 이후 자동화와 무인화가 더욱 가속�
안녕하세요, 비지트입니다.지방 출장 중에 많은 분들과 상담 및 미팅을 가지면서 지방의 상황을 또 알 수...
blog.naver.com
이미 한국 정부에서는 수십조 원의 재원을 들여 재난 기본소득을 천만 명의 중위 소득자까지 지급한다는 계획을 발표했습니다. 이 기준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약 1천만 가구에 긴급재난지원금을 100만 원씩 지급하는 방식으로 현금이 아닌 상품권이나 체크카드로 지불하는 방식입니다. 예산은 대략 20조 원 정도로 소요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이제 기본소득제 도입은 이상이 아닌 실제적인 이슈로 우리 앞으로 다가오고 있습니다. 비지트가 예상했던 것보다 3년 이상 빠른 전 세계적인 도입입니다. 그러기에 코로나 19 이후 싱귤레러티의 핵심은 기본소득제이며 우리가 이것을 어떻게 준비하느냐에 따라서 경제의 흥망성쇠를 좌우하게 될 것입니다.
“1천만 가구에 100만 원 상품권 · 체크카드 지급”
오늘 8시 뉴스는 코로나19로 생계가 어려워진 사람들을 위해서 우리 정부가 지원 방안을 마련했다는 소식부터 전해드리겠습니다. 정부가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가구, 그러니까 전국적으로 약 1
news.sbs.co.kr